□ 인삼
ㅇ 인삼은 HS Code 121120로 분류되며 '날인삼 건조인삼, 인삼절편, 가루인삼, 으깬인삼'의 형태를 포함함.
ㅇ 네덜란드에서 한국 인삼으로 분류되는 인삼은 'Korean ginseng', 'Chinese/Asian ginseng', 'Panax ginseng', 'Panax ginseng C.Y. Meyer'로 불림.
□ 선정사유
ㅇ 이번 조사는 네덜란드의 인삼소비패턴과 트렌드를 조사해 한국기업들의 시장진출 및 확장을 돕기 위해 작성됨.
ㅇ 네덜란드 인삼시장에서는 한국산 인삼은 훌륭한 품질로 유명하지만, 한국 상표제품들이 진출이 저조한 상황임.
ㅇ KOTRA 의 조사에 의하면 Panax계통의 한국 인삼은 네덜란드 시장에서 가치 있게 평가 받음.
ㅇ 건강식품과 음료에 대한 높아져가는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관심추세를 비춰보면 한국 인삼의 잠재력은 풍부함.
□ 시장규모 및 동향
ㅇ 인삼제품은 네덜란드 시장에서 '식품보충제(voedingssupplementen)'나 '건강보조식품(gezondheidssupplementen)'군에 포함됨. 네덜란드에서는 자연식품 및 슈퍼푸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. 이와 같은 식품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은 주로 건강증진이 목적이었음.
ㅇ 최근 식·음료 시장에서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.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트렌드와 맞물려, 의약외품(OTC) 보다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진 전통약초나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.
- 네덜란드에서는 통증완화, 불면증, 기침, 감기, 알레르기, 소화불량, 피부미용, 식이요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약초와 같은 전통치료방식이 흔하게 소비되고 있음. 이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중인 분야는 소화불량 시장임.
- 전체 약초 및 전통식품 시장은 평균적으로 연 2% 상승 중이며, 2016년 규모는 2억18000만 유로를 기록함. 이 수치는 네덜란드 소비자의료시장(Consumer Health Market)의 20%를 초과하는 수준임.
비타민 인삼 및 기타 건강보조식품 시장규모(단위: 백만 유로)
자료원: euromonitor.com
비타민 인삼 및 기타 건강보조식품 성장률(%)
자료원: euromonitor.com
ㅇ EU는 2012년 5월부터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고 혼란을 줄 수 있는 의학적 효능표시를 못하도록 규제함. 때문에 약초나 전통치료 제품들은 건강개선효과를 포장지에 표기가 금지됨.
- 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약초나 치료법에 대해 이미 약효나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판매량의 타격은 크지 않았음.
- 2010~2016년 기간 동안 네덜란드에서 식품 및 건강보조제품의 온라인 소비가 활발하게 이뤄졌고, 오프라인 채널 없이 사업하는 온라인 업체의 입지가 확고해짐. 웰빙식품시장도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온라인으로 공급하면서 향후 5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해나갈 것으로 전망됨.
ㅇ 2010~2015년 사이에 전통·약초 건강보조식품의 판매는 16.9% 증가했음. 같은 기간 인삼의 경우 6.5% 판매 하락세를 보였음. 앞으로 2016~2021년 동안 인삼시장규모는 410만 유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.
- 네덜란드의 여러 매체들에 의하면 한국산 인삼(Panax ginseng C.A. Meyer)은 가장 우수한 종류의 인삼이자 친환경적으로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짐.
- 네덜란드에서 판매되는 인삼 종류는 크게 한국 인삼, 화기삼(America ginseng), 가시오가피(Siberian ginseng)로 분류됨. 이처럼 인삼 종류는 흔히 지명으로 불리지만, 식품표시성분에는 인삼의 학명으로 표기됨.
인삼 및 전통약초 판매량 추이(단위: 백만 유로, %)
구분 | 판매액 | 증감률 | ||||||
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2014/2015 | 2010/2015 | |
Herbal·traditional Dietary Supplements | 58.9 | 60.5 | 62.3 | 64.3 | 66.5 | 68.9 | 3.50% | 16.90% |
Ginseng | 4.6 | 4.5 | 4.4 | 4.4 | 4.3 | 4.3 | -0.7 | -6.5 |
자료원: euromonitor.com
ㅇ 건강기능식품시장은 공급자에 따라 크게 세 부분인 ①제약회사, ②일용소비재회사(FMCG), ③PL브랜드로 나눌 수 있음. 이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기 때문에 업체들은 끊임없이 혁신을 시도함. 신생기업과 소규모기업들은 지속적으로 혁신제품을 내세워 틈새시장 공략을 시도함.
- 네덜란드의 건강보조식품 시장에는 국제적으로 유명하고 오랜 기간 신뢰를 쌓아온 다국적기업들이 많이 진출해있음. 그 중 네덜란드에 제조공장을 두고 있는 Centrum, Davitamon사의 점유율이 높은 편임.
- 2016년 제조사들은 더 많은 자연성분 그리고 슈퍼푸드가 함유된 새로운 종류의 비타민을 시장에 다량 선보였음.
ㅇ PL제품은 2016년 전체 네덜란드의 건강보조식품 시장 중 19%의 판매 비중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음. Kruidvat, De Tuinen사의 PL제품이 인기가 많았고, 이 기업들은 강력한 유통망을 기반으로 저렴한 가격대의 다양한 건강보조 PL제품을 선보임.
- AS Watson사는 네덜란드의 주요 드럭스토어인 Kruidvat, Trekpleister사를 소유중인 유통업자임.
ㅇ 비타민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16년에 3% 성장했고 전체 2억9000만 유로 규모였음.
- 비타민 및 건강보조식품시장의 성장은 네덜란드 의료비 상승으로 인해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소비자들의 변화에 기인 한 것으로 추론됨.
- 네덜란드 공중보건 및 환경연구소(RIVM)에 의하면 네덜란드 성인인구의 약 50%가 비타민보충제를 사용중임.
ㅇ 비타민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경쟁적인 환경은 제조사와 브랜드간의 치열한 경쟁환경을 초래했음.
-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Omega Pharma Nederland B.V. 사는 단일 회사로는 가장 큰 점유율인 14%를 기록하며 시장1위를 지킴, Vemedia사 11% Pfizer사가 6%로 그 뒤를 이었음.
□ 최근 3년간 인삼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
ㅇ 2014~2016년 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총 17개국으로부터 인삼을 수입했음. 그러나 2016년에는 한국, 중국, 홍콩, 벨기에, 미국, 독일, 인도, 프랑스, 브라질, 태국 10개국으로부터 수입이 이루어짐.
- 눈에 띄게 인삼수입이 증가한 국가는 한국(61.5% 상승)과 홍콩(151.23%)임.
네덜란드의 인삼수입 국가별 현황(단위: 달러)
Partner Country | United States Dollars | % Share | % Change 2016/2015 | ||||
2014 | 2015 | 2016 | 2014 | 2015 | 2016 | ||
World | 508,988 | 350,261 | 421,250 | 100.00 | 100.00 | 100.00 | 20.27 |
1. Korea South | 312,148 | 141,601 | 228,685 | 61.33 | 40.43 | 54.29 | 61.50 |
2. China | 70,656 | 85,960 | 78,734 | 13.88 | 24.54 | 18.69 | - 8.41 |
3. Hong Kong | 1,759 | 26,114 | 65,606 | 0.35 | 7.46 | 15.57 | 151.23 |
4. Belgium | 517 | 0 | 20,527 | 0.10 | 0.00 | 4.87 | - |
5. United States | 361 | 15,102 | 13,419 | 0.07 | 4.31 | 3.19 | - 11.14 |
6. Germany | 749 | 0 | 7,505 | 0.15 | 0.00 | 1.78 | - |
7. India | 0 | 0 | 3,890 | 0.00 | 0.00 | 0.92 | - |
8. France | 32,615 | 0 | 2,639 | 6.41 | 0.00 | 0.63 | - |
9. Brazil | 0 | 0 | 225 | 0.00 | 0.00 | 0.05 | - |
10. Thailand | 0 | 0 | 18 | 0.00 | 0.00 | 0.00 | - |
11. United Kingdom | 67,622 | 14,405 | 0 | 13.29 | 4.11 | 0.00 | - 100.00 |
12. Nepal | 0 | 476 | 0 | 0.00 | 0.14 | 0.00 | - 100.00 |
13. Taiwan | 4,387 | 0 | 0 | 0.86 | 0.00 | 0.00 | - |
14. Canada | 0 | 49,709 | 0 | 0.00 | 14.19 | 0.00 | - 100.00 |
15. Denmark | 17,115 | 16,894 | 0 | 3.36 | 4.82 | 0.00 | - 100.00 |
16. Indonesia | 1,054 | 0 | 0 | 0.21 | 0.00 | 0.00 | - |
17. Ireland | 3 | 0 | 0 | 0.00 | 0.00 | 0.00 | - |
자료원: gtis.com
ㅇ 2014~2016년 사이 네덜란드가 가장 많이 인삼을 수입한 나라(중량 기준)는 중국이었고, 한국, 벨기에, 홍콩이 뒤를 이었음
- 2016년에 네덜란드는 중국과 벨기에로부터 각각 3톤가량의 인삼을 수입했고, 한국으로부터 2톤의 인삼을 수입했음.
- 2014~2016년 기간 동안 네덜란드가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인삼의 물량은 50% 감소했음.
네덜란드의 인삼수입 국가별 현황(단위: 톤)
Partner Country | Unit | Quantity | % Share | % Change 2016/2015 | ||||
2014 | 2015 | 2016 | 2014 | 2015 | 2016 | |||
1.Belgium | T | 0 | 0 | 3 | 0.11 | 0.00 | 33.83 | - |
2. China | T | 2 | 2 | 3 | 2.61 | 34.82 | 29.98 | 96.18 |
3. Korea South | T | 4 | 1 | 2 | 5.50 | 26.96 | 15.91 | 34.42 |
4. Hong Kong | T | 0 | 1 | 1 | 0.20 | 12.77 | 9.53 | 70.02 |
5. India | T | 0 | 0 | 1 | 0.00 | 0.00 | 4.94 | - |
6.Germany | T | 0 | 0 | 0 | 0.01 | 0.00 | 3.98 | - |
7. United States | T | 0 | 0 | 0 | 0.00 | 2.21 | 1.48 | 53.06 |
8. Brazil | T | 0 | 0 | 0 | 0.00 | 0.00 | 0.20 | - |
9. France | T | 1 | 0 | 0 | 0.78 | 0.00 | 0.14 | - |
10. Thailand | T | 0 | 0 | 0 | 0.00 | 0.00 | 0.01 | - |
자료원: gtis.com
ㅇ 2014~2016년 사이에 네덜란드가 수입한 가공인삼의 톤당 가격은 47.2% 감소했음
- 한국산 인삼의 톤당 가격은 다른 국가들보다 월등히 높았음. 2015~2016년 기간 동안 한국 인삼의 톤당 가격은 오히려 20.1% 상승했음.
- 2015~2016년 사이 중국산 인삼의 톤당 가격은 53.3% 하락했고, 홍콩으로부터 수입한 인삼의 톤당 가격은 47.8% 상승했음.
네덜란드 수입인삼의 국가별 톤당 가치변화 추이(단위: 달러, 톤)
Partner Country | Unit | Unit Value(United States Dollars) | % Change | ||
2014 | 2015 | 2016 | 2016/2015 | ||
World | T | 7252.2 | 78887.57 | 41641.93 | - 47.21 |
1.Korea South | T | 80930.38 | 118296.34 | 142128.91 | 20.15 |
2. China | T | 38525.47 | 55601.28 | 25959.21 | - 53.31 |
3. Hong Kong | T | 12386.84 | 46055.99 | 68056.15 | 47.77 |
4. Belgium | T | 6468.55 | 0 | 5998.5 | - |
5. United States | T | 180685.4 | 154103.88 | 89461.75 | - 41.95 |
6. Germany | T | 74899 | 0 | 18623.47 | - |
7. India | T | 0 | 0 | 7780.8 | - |
8. France | T | 59300.19 | 0 | 188530.18 | - |
9. Brazil | T | 0 | 0 | 11232 | - |
10. Thailand | T | 0 | 0 | 18099.2 | - |
자료원: gtis.com
□ 대한수입 인삼 규모 및 동향
ㅇ 수입 통계자료를 종합하면, 한국의 인삼의 가치는 시장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었음. 한국 인삼의 가격은 2015년 톤당 14만2128.9달러였고, 2016년 톤당 22만8685달러였음.
- 2014~2016년 사이 한국 인삼의 수입량은 50% 줄었지만 한국 인삼의 톤당 가치는 상승해 네덜란드의 인삼수입금액 중 50%를 차지했음.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홍삼이나 고품질 인삼으로 수요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됨.
□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
ㅇ 네덜란드 내 약초 및 인삼과 같은 건강보조식품의 판매는 주로 자연식품 및 건강식품 전문유통업자들에 의해 가공 판매됐음.
- 소비자들이 직접 인삼을 구매하는 방법으로는 온라인 유통채널을 이용하는 경우이지만 흔하지 않음.
ㅇ 현재 네덜란드에서 'Korea ginseng', 'Panax ginseng', 'Red ginseng'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팔고 있는 회사는 아래와 같음.
- 상표에는 'Giseng'으로만 표기되고 성분표시에서 종류가 확인되는 경우도 있음.
Brand | Sort Product | Origin(of brand) |
Holland & Barrett |
Capsules |
United Kingdom
|
NHP | ||
Nature’s Aid | ||
Lamberts | ||
Pukka Herbs | ||
Solgar | Capsules |
USA |
Nature’s way | Powder | |
Scitec Nutrition | Capsules, Tablets | |
Purasana | Capsules | |
NOW | Capsules, Royal jelly | |
Pure | Capsules |
Belgium |
Céréal | Capsules | |
Fytostar(Omega Pharma) | Capsules, Tablets | |
Ortis | Capsules, extract | Canada |
Il Hwa | Extract, powder, capsules | South Korea |
Herborist | Extract, capsules, royal jelly | China |
Arkocaps (Arkopharma) | Capsules | France |
자료원: voedingssupplementennederland.nl
ㅇ 온라인으로 인삼을 파는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상점들은 아래와 같음. 정제, 캡슐, 로얄제리, 농축물, 차 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으로 판매됨. 하지만 일반 온라인 상점에서도 인삼을 판매 중임.
ㅇ 네덜란드 로컬브랜드들 중 PL상품에 인삼을 포함해 판매하는 회사들은 아래와 같음.
- SNP, Nova Vitae,Natusor, Bonusan, Elvitaal, Ginseng-Vit, Fytocura, AOV, Tai-Ginseng
ㅇ Panax ginseng을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은 아래와 같음(네덜란드 기업 및 외국기업 포함).
- Super Diet, Davitamon, Damhert, Zonnatura, Activo, Etixx, Elix, Artelle, GMB, Soria, Vitals, phytostandard, The World Finest, Vitotaal, Golden Bee, Homeoden Heel, Jacob Hooy, VSM, Bloem, Vera Sana
ㅇ Panax ginseng만을 제품에 사용하는 상품도 있지만, 화기삼(Panax quinquefolius)이나 가시오가피(Siberian ginseng)을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음. 여러 종류의 인삼을 같이 사용하는 이유는 인삼 별 효능이 각각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.
네덜란드에서 판매되는 인삼종류
자료원: vitaminstore.nl
ㅇ 아래의 표는 건강보충제 전문 온라인 판매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의 순위임. 인삼의 주요 소비방식은 캡슐형태였음.
Product name | Product sort | Brand | Price in euro |
Korean Ginseng 500mg | 200 Capsules(122g) | Holland & Barrett | 38.99 |
Ginseng Vit Tonic | Tonic(450ml) | Parmalux | 19.99 |
Ginseng skin care cream | Cream(250ml) | Elvitaal | 20.49 |
Siberian ginseng | 100 Capsules(18g) | Holland & Barrett | 24.99 |
Korean ginseng 500mg | 100 capsules(61g) | De Tuinen(PL) | 11.49 |
Ginseng extract 100% pure | Extract(30g) | GINSENG | 29.50 |
Tai- ginseng dragees | Capsules(60 pieces) | TAI- GINSENG | 11.49 |
Vitals ginseng biologic capsules | Capsules(60 pieces) | VITALS | 34.95 |
Yogi tea, ginseng flower | Tea(30.6g) | Yogi Tea | 3.29 |
자료원: deonlinedrogist.nl, detuinen.nl, ginseng.nl 종합
ㅇ Omega Pharma Nederland B.V.사는 제조업자상표 회사이며 2016년 기준 비타민 및 건강보충제 시장점유율 13.8%를 유지중임.
- 비타민과 보충제 시장에서의 상품별 점유율은 Omega Pharma Nederland B.V. 사의 단일 브랜드Davitamon가 2016년 비타민 시장의 9.1%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함.
네덜란드 비타민시장 국내기업의 점유율
자료원: euromonitor.com
□ 관세율, 수입규제, 인증
ㅇ 수입관세
- 인삼은 일반(건강)보조식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다른 보조식품과 같은 규정을 적용 받음.
- 대한민국과 EU은 2011년 7월부로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있음. 체결 5년 이내에 양국간의 모든 산업제품의 관세가 철폐됨
- EU은 비EU국가들로부터의 인삼수입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음
- 네덜란드는 비타민과 같은 식품영양제는 일반 부과세보다 낮은 세율인 6%를 적용 받음.
ㅇ 수입규제
- EU의 TARIC규제(2017년 1월 1일 버전)에 의하면, 스위스, 아이슬란드, 노르웨이, 리히헨슈타인을 제외한 모든 비 EU국가로부터의 유기농제품 수입에 대한 규제를 적용함.
TARIC 규제 본문
자료원: ec.europe.eu
ㅇ 네덜란드로 인삼수출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.
- 음식료품의 오염 통제
- 식물 및 동물 식품에 대한 농약잔여물 측정기준 통과
- 음식 및 동물사료에 대한 추적관리, 법규를 준수해야 함.
- 인간섭취 목적의 전통차나 치유성 제품에 대한 특별규정
req_spmedhu_eu_010_0612.htm&reporterLabel1=EU&reporterId2=NL&file2=ehir_nl17_03v001/nl/main/
req_spmedhu_nl_010_0612.htm&reporterLabel2=Netherlands&label=Import+requirements+for+medicinal+products+
for+human+use&languageId=en&status=PROD
- 식품성분표기법
- 위험 화학물, 농약이나 살생물제에 대한 마케팅 규제
- 멸종위기에 처한 동.식물 교역에 관한 국제협약(CITIES, 2017년부터 의무화됨), CITES인증은 네덜란드기업청(RVO)을 통해 발급진행 가능함.
- 유기농제품에 대한 규제(자발적 선택)
□ 시사점 및 전망
ㅇ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증가가 약초류의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.
-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관심은 슈퍼푸드 시장의 성장세로 연결될 것으로 예측됨.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 인삼시장은 향후 몇 년간 보합세를 보일 것임.
비타민 인삼 및 기타 건강보조식품 예상 성장률(%)
자료원: euromonitor.com
ㅇ 인삼 제품의 네덜란드 시장 내 가능성
- 한국의 인삼 종류인 Panax ginseng은 뛰어난 효능으로 더 많이 찾는 제품임. 다만 네덜란드 건강관련 매체들은 아이들의 인삼 섭취에 대해 권장하지 않음. 네덜란드 시장에서는 아이들을 위한 인삼제품의 경우 성공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됨.
- 현재 네덜란드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가공된 인삼을 제공하는 한국 업체는 '일화(ILHWA)'에 불과함. 대부분의 한국 인삼은 네덜란드나 다른 국가들의 가공업체들에 의해 가공돼 소비자들에 의해 소비됨.
ㅇ 네덜란드 건강보조식품 시장 진입을 위한 전망
- 네덜란드에서 소비되는 인삼제품들의 경우 캡슐, 태블릿이 제일 흔하게 소비되는 형태이며 로얄제리나 인삼추출물, 가루 등으로 소비됨(벨기에 GMB Ginseng사는 특이하게 커피와 인삼을 함께 포함한 제품도 있었음).
- 하지만 네덜란드에서 인삼의 직접·간접 구매는 모두 낮은 편임. 네덜란드의 치열한 건강기능식품 시장 속에서 인삼캡슐과 같은 단일인삼제품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에는 가격 또는 마케팅측면(건강효능 표기규제)에서도 열악한 실정임.
- 그렇기 때문에 네덜란드에서 가장 흔하게 소비되는 건강기능식품인 비타민과 결합하는 방식이 인삼소비촉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됨.
ㅇ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대표적인 특징은 '가격민감성'임. 필요 이상의 지출은 자제하며 기능위주의 절제된 소비가 이루어짐. 때문에 신뢰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가격대의 PL제품이 네덜란드 시장 전체에서 또 비타민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.
- 이미 잘 알려진 현지 PL제품(비타민)과 한국 인삼을 결합하는 형식으로 판매한다면 가격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인삼의 고급 이미지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.
자료원: gtis.com, euromonitor.com, vitaminstore.nl, detuinen.nl, vitaminesperpost.nl, deonlinedrogist.nl, gezondheidswinkel.nl, ec.europe.eu, exporthelp.europa.eu,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자료 종합